저는 전에 자료에서 보셨듯이 증여세 신고 기한 내에 신고를 하지 못했습니다.
하지만, 기한 후 증여세 신고를 하면 불이익을 줄일 수 있다고 해서 방법을 갈구하여 해보았습니다.
쉽지는 않았지만 차근차근 하나씩 하다보면 다들 하실 수 있을 거라 생각됩니다.
1. 자녀증여세 신고전 필요사항
✅ 자녀 계좌 공동인증서 발급
자녀에게 증여를 하신 분이라면 자녀 계좌가 존재 할 것이라고 생각됩니다.
우선 자녀 계좌에서 공동인증서를 발급 받아서 컴퓨터에 옮겨 놓아야 합니다.
#이거 관련해서는 다음에 만들어 보겠습니다.^^
✅ 우선 홈택스에서 자녀 아이디로 회원가입
공동인증서를 발급 받으셨다면 홈택스에서 자녀 아이디로 회원가입을 실시하여야 합니다.
14세미만이라면 보호자 인증을 통해 아이디를 만들어서 공동인증서를 등록해 로그인하시면 됩니다.
#이거 관련해서는 다음에 만들어 보겠습니다.^^
2. 홈택스 기한후 증여세 신고 방법
✅ 1. 홈택스 로그인
✅ 2. [신고/납부] 메뉴 → [일반증여신고] → [기한후신고] 클릭
✅ 3. 기본정보 입력 (증여받은 정보, 증여자, 수증자 입력 후 확인 → 조회 클릭
✅ 4. 조회에서 증여자와의 관계 → 자 선택
✅ 5. 증여 재산 입력 재산 구분
[증여재산-일반] → [현금] → [현금 등 시가] → 증여 금액 입력 후 등록하기
✅ 6. 세액계산 입력에서 (26)번 항목에 증여금액 입력
예)30만원
✅ 7. 증여세 신고 최종화면
(세금은 0원,
혹시 자녀증여 금액이 2000만원이 증가하신분은 세율에 따라서 세금이 부과됩니다. 이전자료 참고!)
✅ 8. 신고 관련 증빙서류 제출(4가지)
[이체(증여)받은 자녀계좌 사본, 증여금 이체 확인서, 수증자 상세 가족 관계증명서, 수증자 상세 기본증명서]
증빙자료 4가지를 JPG, PDF 파일 등으로 첨부해서 제출하시면됩니다 증여세 신고 최종화면
💡 Tip 1 . 기한 내 신고
기한 내 신고가 최선이다!! 증여 후 3개월 이내 신고를 하시면 좀더 수월합니다.
다음번에는 기한 내 신고하는 방법도 올려보도록 하겠습니다.
💡 Tip 2 . 자녀 증여금 한번에 이체
여유가 되신다면 한번에 이체 후 관리하는게 좋습니다.
저는 조금씩 나눠서 줬더니 개별로 신고를 해야되서 쉽지 않았습니다^^
🔍 결론: 기한 후라도 반드시 신고하자!
기한 내 신고를 놓쳤다면 빠른 기한 후 신고가 최선입니다.
다들 좋은 하루 되시고 궁금한 점 있으시면 댓글에 남겨주세요!
'재테크 및 경제' 카테고리의 다른 글
🔥 미국 S&P 500 ETF 종류 및 분석 - SPY, VOO, IVV 비교 (1) | 2025.03.30 |
---|---|
SCHD ETF 완벽 분석 - 배당 성장의 최강자 (0) | 2025.03.30 |
💰 암호화폐 투자 기본 가이드 (2) | 2025.03.30 |
🚀 최적의 소비 습관을 만드는 실천법 (1) | 2025.03.29 |
🏦 은행 및 금융사 제공 혜택 200% 활용법 (1) | 2025.03.29 |